DrawMap
자전거 주행으로 그리는 관광 컨텐츠 개발/공유 서비스
내가 개발한 페이지
코스개발페이지
마이페이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타 파트와의 소통의 중요성
드로맵은 팀프로젝트로 진행했기 때문에, 다른 파트 팀원과의 소통또한 중요했다. 타 파트와 소통할 때 어려운점들을 느꼈는데 프로젝트가 종료하고 나서 이렇게 개선하면 될 것 같은 사항을 적어본다.
-
상세히 물어보기
잘 모르겠거나 이해가 안되는 것은 상세하게 물어보자.
내가 말하는 것 혹은 다른 파트원이 말하는 내용들이 이해가 안 갈수도 있다. 내가 엄청난 관심을 가진 분야가 아니면 기존 지식으로 이해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하더라. 따라서, 조그만한 내용도 이해가 안되면 자세히! 풀어서 설명해줄 수 있는지 물어볼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타 파트의 진행 상황을 상세하게 물어봐야 한다.
매주 단체 회의를 진행했는데 회의 시간은 항상 30분을 넘기지 않았었다. 당시에는 회의가 빨리 끝나서 마냥 좋았었는데, 끝나고 보니 이 점을 개선해야 했다고 느껴졌다.
단체 회의때 각 파트의 진행 사항을 이야기 하는데, 단순하게 ‘저희 파트는 ~ 했습니다.’하고 끝났다. 이렇게 간단하게 말하고 끝낼 것이 아니라 진행했던 결과까지 같이 확인하면서 구체적으로 뭘 했는지까지 설명해야 했다.예를 들자면, API 명세서를 작성했다고 치자. 그럼 작성한 명세서와 함께 이건 어떤 데이터를 뜻하고 값으로는 뭐가 들어올 수 있는지 등을 말이다..! 그렇다.. API 명세서를 이해하지 못해서 고생했었다.
회의때, 명세서를 작성했다고 했을 때 같이 보면서 이야기했었더라면.. 명세서를 보고 상세히 물어봤더라면.. 라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
잦은 소통의 필요
다른 파트와 소통을 자주, 많이 해야 한다.
직접 느끼게 된 계기는 API 명세서였다. 해당 프로젝트는 ‘스웨거(Swagger)’를 사용하였는데, 처음에 이게 뭔지 몰라서 (이때 처음 들었다) 회의를 하면서 찾아본 기억이 난다.
처음 듣고 사용하게 된 것이라 찾아보면서 사용하느라 애를 먹기도 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이게 아니었다.백엔드 측에서 작성해둔 데이터 명이 뭘 뜻하는지 알 수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어떤 것은 눈치껏 데이터 값을 보고 알 수 있었지만,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데이터들이 존재했다. 또한, 프론트에서 받으려는 데이터의 갯수와 종류가 API 명세서에 적혀있는 것과 달랐다.
처음에 API를 명세서를 이해하느라 필요없는 시간을 많이 허비했다. 심지어 겨우 이해했다고 생각했지만, 작성한 의도와 다르게 이해를 해버려서 카카오로그인 토큰이 발급되지 않은 줄 알고 헛 고생을 했던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 회의에서만 물어볼게 아니라 메세지라도 지속적으로 물어봤다면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그렇게 하지 못했던 것이 프로젝트를 종료하고 나서 가장 아쉬웠던 것으로 기억된다.
같은 파트원과의 소통
‘드로맵’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프론트엔드 팀장을 맡게 되었다. 프론트엔드 파트 회의 진행 및 의견 수렴, 일정 조정, 파트 분배 등을 일을 했다.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 이렇게 팀장의 역할을 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은 점들을 적어본다.
-
진행 상황 발표
각자의 진행 상황은 상세히 발표하자.
파트 회의를 진행하면서 각자 해와야 했던 일들을 같이 확인하면서 발표를 진행하지 않았던 것이 아쉬운 점으로 기억된다.회의 시작 시간 전에 깃허브에 push가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회의에 들어갔었다. 그리고 회의때, 간단하게 ‘@@님 ~~하셨죠? 깃허브에 push를 안하셨는데 해주세요’ 정도만 하고 넘어갔었다. 이러면 안됐었다…!ㅜ
깃허브에 올려있지 않으니, 정확히 했는지 안했는지는 해당 파트원의 말만 믿고 넘어갔었다.
이렇게 말만으로 넘어갈 것이 아니라, 같이 해당 코드 혹은 결과물을 확인하면서 어떻게 구현했는지 꼭 같이 확인을 해야 했다.
그래야 우리 파트의 진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정기 회의때 정확한 진척 상황을 PM에게 말할 수 있다.
그러니 다음에는 꼭, 각자의 진행 상황을 발표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가져야 겠다고 생각했다. -
코드 리뷰
구현한 코드를 팀원들과 리뷰하자.
나중에야 알게된 것인데, 코드 리뷰는 정말 중요하다. 이론적으로만 리뷰가 필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게 왜 필요한 것일지는 느끼지 못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왜 리뷰가 필요한지를 느꼈다.파트원들과 코드리뷰를 가져야, 다른 사람이 구현한 기능을 사용할 때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select box를 구현했다. 이에 대한 props로 locataion과 title이 존재한다. 내가 이 props가 뭔지 설명하지 않으면, 다른 파트원이 해당 select box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뭘 뜻하는 건지 한번에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해당 컴포넌트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코드리뷰를 하면서 설명했다면, 타 파트원이 구현을 하면서 해당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코드리뷰를 통해 기능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본인이 아무리 뛰어난 코딩 실력을 가졌다고 해도, 부족한 점은 존재할 것이다. 내가 작성한 코드를 다른 팀원이 리뷰하면서 더 좋게 발전할 수 있는 사항을 찾아줄 수 있다. 또한, 내가 이상하게 혹은 잘 못 작성한 것들도 찾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항상 코딩을 하면서 느낀 것이지만, 내가 작성한 것은 잘못된 점을 찾기 어렵다. 그렇기에 제3자에게 리뷰를 받으면서 개선사항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프론트엔드 팀장을 맡으면서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거나 프로젝트의 성장을 위해 이끌어나가지 못한 것 같아서 아쉽다.
위에 작성한 것처럼 했더라면, 일의 진행도 원활했을 것이고 코드리뷰를 통해 피드백을 받아 수정해나가면서 보다 완성도가 높은 프로젝트가 만들어질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종료하며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이 남는 프로젝트다.
첫 시작부터 일정이 많이 밀린채로 시작했고, 종료 또한 완전한 완성이 아닌 상태에서 종료하게 되었다. 그래서 정말 많은 아쉬움이 남는 프로젝트인 것 같다.
처음으로 프로젝트의 프론트엔드 파트 팀장을 맡게 되면서 팀장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 같아, 같은 파트원들에게도 미안함이 든다. 더 잘 챙기고 이끌어 나갔더라면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그리고 무언가 불만사항이 있다면, 나는 그 불만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는가? 혹은 무조건 내가 다 수습하려고만 하지 않았는가?를 생각해야 할 것 같다.
내가 무조건 다 수습하는 것도 좋지 않고, 불만만 토로하고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도 좋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혼자서 할 것이 아니라 이건 ‘팀’ 프로젝트니까 같이 해결해 나가고, 소통을 통해 같이 서로의 문제점을 개선해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여러모로 아쉬움은 많이 남은 프로젝트였지만,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act의 활용 능력이나 서버와의 통신, Kakao API를 활용하는 등의 능력이 많이 향상됐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프로젝트였다.
예전에 Kakao API를 연결한다고 애를 많이 먹었는데.. 이번에는 내가 생각한 것 보다 굉장히 빠르게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
나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다음번에는 좀 더 성장하여 이번에 아쉬웠던 점들을 개선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다.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자.
Comments